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마케팅 툴/MMP27

LTV(Cohort) 데이터와 Activity(Actual) 데이터의 차이점 LTV(Cohort) 데이터특정 날짜 범위에 앱을 인스톨한 사용자의 일생동안 수행되는 이벤트예를 들어, LTV 데이터를 사용하여 특정 달 동안 앱을 인스톨한 사용자의 현재 날짜까지 ROI를 확인 가능지정된 날짜 범위 이전에 앱을 설치한 사용자가 수행한 이벤트는 해당 범위 내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도 LTV 데이터에 표시되지 않음LTV 데이터는 서로 다른 미디어소스의 사용자 품질을 보여주는 도구캠페인 최적화는 LTV 데이터에 기반앱스플라이어의 개요는 대표적인 LTV 데이터메인에 있는 왼쪽 탭 중 액티비티 탭을 제외하고는 거의 LTV 라고 보면 됨​​Activity(Actual) 데이터특정 기간 내에 활동적인 앱 사용자가 수행한 이벤트시간별 이벤트의 내역을 보여주기 때문에 특정 기간 동안 미디어소스의 전.. 2024. 5. 2.
MMP에서 보이는 데이터의 출처, 네트워크 데이터와 트래커 데이터 데이터를 볼 때 주의해야 할 점 중 하나가 데이터의 출처를 명확하게 아는 것이다.동일한 현상/액션이 발생했을 때 데이터를 취합하는 툴이나 솔루션에 따라 데이터를 다르게 집계하기 때문 데이터의 출처에 따라 데이터 해석이 달라질 수 있다는 이야기인데,이는 MMP에서도 마찬가지 MMP에서 볼 수 있는 데이터의 2가지 큰 축네트워크 데이터(Network Data): 매체에서 주는 데이터 그대로 MMP가 불러오는 데이터트래커 데이터(Tracker Data): MMP가 MMP의 기준으로 측정한 데이터   대표적인 네트워크 데이터비용(Cost)노출(Impression)클릭(Click)도시(City)Region(지역)노출 위치(Placement)등등등 대표적인 트래커 데이터설치(Install)매출(Purchase)그 .. 2024. 4. 30.
MMP로 앱 리텐션 확인하기 (feat. 앱스플라이어) 앱스플라이어 리텐션 보고서 사용법앱스플라이어에서 앱 리텐션 확인 가능앱스플라이어의 리텐션 기준은 앱 오픈설정한 날짜는 유저가 앱을 첫 실행한 날짜복수의 날짜 선택할 경우 선택한 날짜 범위 동안 처음으로 앱을 실행한 사용자 총수각 날짜 기준으로 Day 1, Day 2 등 별도로 계산된 후 해당 값들의 합으로 노출복수의 날짜의 총합이 아닌 각 날짜 기준으로 각각의 리텐션율을 확인하고 싶다면 조회 기준에 "날짜" 추가앱스플라이어가 매일 앱을 실행하는 고유 사용자 수를 계산하므로 리포트는 누적되지 않음예를 들어 1, 3일차에 앱 오픈을 했다면 Day 1과 Day 3에는 리텐션 값이 찍히지만 Day 2에는 찍히지 않음Day 2보다 Day 3의 리텐션율이 더 높을 수도 있다는 의미리텐션에는 리인스톨이 포함되지 않음.. 2024. 4. 27.
앱스플라이어 원링크 만드는 법, 생성 방법 원링크 생성 기본 구조원링크 템플릿 생성원링크 템플릿을 활용해 커스텀 링크 생성​​​원링크 템플릿 생성원링크 템플릿이란 생성할 원링크의 기본 뼈대를 만드는 작업.​템플릿 생성 단계에서 필수적으로 결정해야 하는 것들은,​1. 원링크 하위 도메인원링크를 생성하면 "http://하위도메인.onelink.me/xxxx/~~~~~~" 로 링크가 만들어질 텐데,이 때 하위도메인에 들어갈 내용을 정해야 함.일반적으로 브랜드명으로 입력.​템플릿이 만들어지면 xxxx 부분도 랜덤으로 생성.​원링크 주소 자체가 직접적으로 유저들에게 드러나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기기나 매체 환경에 따라 순간적으로 URL 창이 노출되는 경우가 있다는 점은 알고 있어야 함.​2. 앱 선택어떤 앱에 대한 원링크를 생성할 것인지 결정.AOS/iO.. 2024. 4. 27.
MMP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feat. 앱스플라이어, 애드저스트, 싱귤러 등 어트리뷰션툴) 0. 광고 매체와 MMP의 데이터는 다를 수밖에 없다.앱스플라이어(AppsFlyer), 애드저스트(Adjust), 브랜치(Branch), 싱귤러(Singular),코차바(Kochava), 텐진(tenjin), 애드브릭스(Adbrix), 에어브릿지(Airbridge) 등MMP의 종류는 다양한데 어떤 MMP든 광고 매체와 MMP의 데이터는 100% 일치할 수 없다.​1편에서 말한 것과 같이 MMP 데이터는 원본 데이터가 몇 차례 가공되었다는 점,광고 매체와 MMP의 데이터 집계 기준(어트리뷰션 윈도우, 기여모델 등)이 다르다는 점 등이 그 이유이다.​참고 자료: [마케팅 툴/MMP] - 광고 매체와 MMP(어트리뷰션 툴)의 데이터가 다른 근본적인 이유 광고 매체와 MMP(어트리뷰션 툴)의 데이터가 다른 근본.. 2024. 4. 27.
앱 마케팅을 위한 MMP의 기본 & 기초 (feat. 앱스플라이어) 어트리뷰션인게이지먼트(Engagement): 노출(view)/클릭(click), 광고와 유저의 접점룩백 윈도우(Lookback window): 인게이지먼트 기록의 유효 기간리어트리뷰션 윈도우(Re-attribution window): 최초 설치 시점 이후 재설치를 신규설치로 인정하지 않는 기간​​에이전시 계정 권한에이전시 투명성: 에이전시 계정의 앱설정에서 토글 ON 필요​​​SRN(Self Reporting Network)앱스플라이어와의 제휴를 통해 자체적으로 어트리뷰션을 하는 네트워크(구글, 메타(페이스북), 트위터 등)API를 통해 어트리뷰션 이벤트를 연동 > 어트리뷰션 링크 필요 없음SRN이 아닌 매체의 경우 어트리뷰션 링크를 생성해 매체에 전달해야 함 ​앱스플라이어 - 매체/대행사 연동 방법파트.. 2024. 4. 27.
광고 매체와 MMP(어트리뷰션 툴)의 데이터가 다른 근본적인 이유 퍼포먼스 마케팅 혹은 디지털 광고를 집행할 경우 효율적인 광고 집행을 위해 고객 데이터를 활용하게 된다. 이때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 애즈, 애플서치와 같은 매체에서 집계되는 데이터와앱스 플라이어, 애드저스트, 브랜치 등과 같은 MMP(어트리뷰션 툴)에서 집계되는 데이터가 다른 경우를 자주 목격하게 된다.​마케터가 정확한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서어떤 데이터를 더 신뢰해야 하는 걸까?​​결론부터 말하자면필요와 상황에 따라 알잘딱깔센으로 두 가지 데이터를 모두 이해하고적절하게 활용/해석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두 데이터가 왜 다른지를 먼저 알아야 한다.​물론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유는광고 매체와 MMP에서 '데이터를 정의하는 기준'이 다르기 때문이다. *참고자료: [광고 매체/Google] - .. 2024. 4.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