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퍼포먼스 & 그로스 마케팅204

앱 서비스의 스토어 배포와 코드푸시(CodePush)의 차이 1. 스토어 배포 (Store Deployment)스토어 배포는 앱을 구글 플레이스토어(안드로이드)나 애플 앱스토어(iOS)와 같은 공식 앱 마켓에 배포하는 과정입니다.이는 사용자가 앱을 다운로드하고 설치하는 전통적인 방법입니다.목적: 새로운 앱 버전(네이티브 코드 변경 포함)을 출시하고, 스토어의 심사를 거쳐 사용자들에게 배포하는 방법입니다.장점: 새로운 기능이나 네이티브 코드의 수정 등을 포함한 완전한 앱 업데이트가 가능합니다.제한 사항: 스토어 배포는 심사 과정이 필요하고, 새로운 버전이 배포되기까지 시간이 걸립니다. 또한, 앱스토어에서의 승인을 받지 않으면 배포가 불가능합니다. 2. 코드푸시 (CodePush)코드푸시는 주로 React Native와 같은 크로스 플랫폼 모바일 앱 개발에서 사용되는.. 2025. 2. 14.
크리테오 원태그(이벤트) 구현 가이드 *피드 구성 컬럼값은 ‘상품 카탈로그 사양’ 내용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피드 가이드(국문)https://help.criteo.com/kb/guide/ko/quick-start-integration-guide-sGMIjr59lM/Steps/775706,918152,918148,918153,886830 Quick Start Integration Guide | 크리테오 도움말첫 번째 캠페인을 시작할 준비가 되셨습니까? 이 가이드는 크리테오와 광고 게재를 시작할 수 있도록 계정이 올바르게 설정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아래의 단계에 따라 상품help.criteo.com  상품 카탈로그 사양https://help.criteo.com/kb/guide/en/quick-start-integration-g.. 2025. 2. 14.
구글애즈의 쇼핑 캠페인이란? 구글 애즈(Google Ads) 쇼핑 캠페인 개요구글 쇼핑 캠페인은 온라인 쇼핑몰 및 소매업체가 제품을 홍보하고, 트래픽을 유도하며, 매출을 증가시키기 위한 광고 캠페인 유형입니다.구글 검색 네트워크, 유튜브, 디스커버리, 쇼핑 탭, 디스플레이 네트워크 등을 통해 제품을 직접 홍보할 수 있습니다.  1. 쇼핑 캠페인의 특징쇼핑 캠페인은 기존의 키워드 기반 검색 광고와 다르게 제품 데이터 피드(Product Feed) 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광고가 생성됩니다.🔹 비주얼 중심 광고: 제품 이미지, 가격, 상점명, 리뷰 등이 포함된 광고가 노출됨🔹 키워드 설정 불필요: 구글이 제품 데이터를 분석하여 자동으로 관련 검색어에 광고를 노출🔹 비딩 자동화 가능: 스마트 쇼핑 캠페인을 활용하면 머신러닝을 기반으로 .. 2025. 1. 27.
퍼포먼스 마케팅 광고 세팅 완료 후 점검해야 할 체크 리스트 구글애즈, 메타, 틱톡 등의 퍼포먼스 마케팅 매체 세팅을 완료했더라도 끝이 아님.광고가 제대로 돌아가는지(라이브 되었는지)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 광고가 제대로 라이브 된 것 까지 확인해야 세팅이 완료되었다고 할 수 있음. 1️⃣ 광고 라이브 확인 ✅ 예산이 소진되고 있는지 확인(노출 및 클릭 발생 확인)✅ 보통은 광고 소재(크리에이티브) 세팅 후 검수까지 완료 되어야 광고비 소진 시작 AI가 소재를 검수하는 구글, 메타, 틱톡 등에서는 보통 1~3시간 안에 검수 완료.길면 6시간 정도가 걸리기도 하고, 매체에서는 공식적으로는 최대 24시간이 걸린다고 이야기 함.하지만 24시간 가까이까지 기다려도 라이브가 되지 않는다면 세팅 이슈를 포함한 어떠한 문제가 있다고 판단해도 됨.  2️⃣ 광고 성과 모니터링✅.. 2025. 1. 22.
오디언스 식별자(이메일, 전화번호, 이름, ADID 등)를 활용한 타겟 생성 및 활용 데이터 기반 타겟팅의 모든 것:구글, 메타, 틱톡 광고에서 오디언스 식별자를 활용하는 방법 효과적인 디지털 광고를 위해 가장 중요한 건 "누구에게 광고를 보여줄 것인가"입니다. 요즘 같은 데이터 중심 시대에는 단순히 연령, 성별, 관심사를 넘어 오디언스 식별자를 활용한 정교한 타겟팅이 필수입니다. 구글 애즈, 메타(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틱톡에서는 이메일, 전화번호, 이름, 광고 ID(ADID) 같은 고객 데이터를 활용해 맞춤형 오디언스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를 통해 어떻게 타겟팅을 할 수 있는지, 그리고 왜 이 방법이 강력한지 알아보겠습니다.  오디언스 식별자를 활용한 타겟팅의 장점1. 정확한 타겟팅으로 성과 향상오디언스 식별자를 활용하면 기존 고객이나 관심 있는 잠재 고객에게 광고를 노출.. 2025. 1. 10.
구글애즈 무효 트래픽(무효 클릭)이란? 무효 트래픽이란?광고와 관련 없는 클릭/노출로, 실제 사용자의 관심과 무관함.사기성 클릭, 실수로 발생한 클릭, 자동화 도구(봇 등)로 인한 클릭 등이 포함됨.무효 트래픽에 대한 비용은 청구되지 않음. 무효 트래픽의 주요 유형실수로 발생한 클릭 (예: 더블클릭)경쟁사 또는 광고주가 의도적으로 만든 클릭봇, 크롤러 등 자동화 도구로 인한 클릭비정상적인 클릭/노출 패턴광고주의 클릭률(CTR)을 낮추기 위한 노출 Google의 무효 트래픽 처리 방식무효 트래픽 감지 후 보고서에서 자동 삭제.청구 전 감지: 비용 조정.청구 후 감지: 무효 트래픽 크레딧 제공. 무효 트래픽 크레딧 확인 방법Google Ads 계정 → 결제 아이콘 → 요약 클릭.'거래' 항목에서 '무효 클릭(무효 활동)'으로 차감된 금액 확인 가.. 2025. 1. 7.
에어브릿지 필드(메트릭/그룹바이) 모음 에어브릿지에서 제공하는 필드(메트릭/그룹바이) 모음그 중에 종종 헷갈리는 것들은 별도로 정리 'Open' vs 'Deeplink Open'Open: 앱을 실행 한 총 Open 수 (Deeplink Opens, Non-deeplink Opens 포함)Deeplink Open: Deeplink를 이용해 앱을 실행한 수(보통 기설치자가 리타겟팅 캠페인 링크를 클릭 시 딥링크 오픈이 적용)주의할 점첫 Open(First Open)은 설치로 집계되어 Open이 집계되지 않음Deeplink Open 어트리뷰션 윈도우는 3일이 기본값이며, 설치 어트리뷰션과 겹칠 경우 딥링크 오픈에 대한 어트리뷰션이 우선적으로 기여를 가져감   * 에어브릿지 리포트 메트릭https://help.airbridge.io/ko/guides.. 2024. 12. 30.
룩백 윈도우, 어트리뷰션 윈도우, 기여 모델에 대한 이해 1. 룩백 윈도우 (Lookback Window)룩백 윈도우는 사용자가 광고와 상호작용한 후 실제로 전환(구매, 회원가입 등)이 이루어지기까지의 기간을 의미합니다.즉, 광고 클릭이나 노출 후 일정 기간 동안 발생한 전환에 대해 추적하는 시간 범위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30일 룩백 윈도우를 설정하면 사용자가 광고를 클릭한 후 30일 이내에 발생한 전환(구매, 가입 등)에 대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합니다.이 기간 동안의 사용자 행동을 분석하여 광고가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주요 포인트:광고와 상호작용한 후 전환까지 걸린 시간을 측정.전환에 이르는 경로와 시점을 명확하게 파악하여 광고 효과를 분석.이 기간이 짧으면 고객 행동을 더 빠르게 반영할 수 있고, 길면 다양한 요소가 복.. 2024. 12. 12.
SRN(SAN)과 non-SRN(SAN)의 차이점: 포스트백과 클레임을 중심으로 디지털 마케팅에서 SRN(Self-Reporting Network) 혹은 SAN(Self-Attribution Network)은자체적으로 광고 성과를 추적하고 보고하는 네트워크를 의미합니다. 대표적인 SRN에는 아래 매체들이 있습니다.구글 애즈(Google Ads)메타/페이스북(Meta/Facebook)틱톡(Tiktok)트위터(Twitter / X)스냅챗 애즈(Snapchat Ads)등등 반면, non-SRN은 SRN이 아닌 광고 네트워크 또는 매체를 말하며,자체적으로 성과를 추적하지 않고 MMP(Mobile Measurement Partner)를 통해 성과 데이터를 확인하고 보고합니다.   1. SRN(SAN)의 정의와 특징자체 데이터 수집 및 보고SRN은 전환 데이터를 자체적으로 추적하여 광고 성과를.. 2024. 11. 20.
리텐션의 정의와 종류(N-Day, Unbounded, Bracket 리텐션) 1. 리텐션(Retention)의 정의와 종류리텐션의 정의리텐션(Retention)은 사용자 유지율을 뜻하며, 서비스에 가입하거나 특정 행동을 수행한 사용자가 일정 기간 후에도 계속 서비스를 이용하는 비율을 측정합니다.이는 사용자 이탈을 방지하고, 서비스 개선 및 비즈니스 성장의 주요 지표로 사용됩니다. 리텐션의 종류리텐션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아래의 세 가지입니다.N-Day 리텐션 (Classic Retention): 특정 시점(예: Day 1, Day 7, Day 30 등)에서 사용자가 다시 방문했는지 확인Unbounded 리텐션 (Rolling Retention): 기준일 포함 이후 **"한 번이라도"** 재방문했는지를 측정Bracket 리텐션 (Range Retention): 특정 기간(예:.. 2024. 11.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