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1. 구글 태그 매니저(GTM) 접속 방법
2. GTM 계정 및 컨테이너 생성
Google Tag Manager(이하 GTM)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크게 아래 세 가지가 필요합니다.
👉구글 계정(Google Account)
- 구글 서비스 전반을 이용하기 위한 기본 계정입니다.
- 예: Gmail, Google Analytics, Google Ads, Google Drive 등 모든 구글 서비스에 로그인하고 사용할 수 있는 이메일 주소입니다.
- 개인용 계정(@gmail.com)도 가능하고, G Suite(구 Workspace)와 같이 회사용 도메인으로 된 계정도 가능합니다.
👉GTM 계정(Google Tag Manager Account)
- GTM을 본격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만드는 태그 매니저 전용 계정입니다.
- 보통 한 기업 또는 조직 기준으로 하나의 GTM 계정을 생성하며, 사이트나 앱, 여러 프로젝트가 있다면 이 계정 안에서 여러 개의 컨테이너(프로퍼티)를 만들어 관리하게 됩니다.
- 함께 일하는 팀원 또는 에이전시와 계정을 공유하여, 같은 GTM 계정에서 여러 담당자가 태그 설정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컨테이너(Container)
- ‘실제로 태그를 담고 운용하는 공간(그릇)’입니다.
- 하나의 웹사이트나 앱에 해당하는 태그들을 모아 놓는 곳이며, 이를 웹사이트에 설치한 GTM 스니펫 코드(스크립트)와 연결해 둡니다.
- 예를 들어, 한 회사에서 웹사이트, 안드로이드 앱, iOS 앱을 각각 GTM으로 관리하려고 한다면 웹용, 안드로이드용, iOS용으로 컨테이너를 각각 만들어서 태그들을 설정합니다.
- 컨테이너 안에는 태그(Tag), 트리거(Trigger), 변수(Variable) 등 GTM의 핵심 요소들을 생성, 설정하여 관리하게 됩니다.
3. 홈페이지 내 GTM 소스 코드 설치
👉우측 상단의 태그 ID 클릭
- 아래 이미지의 빨간 박스 부분
👉코드를 가이드에 따라 각각 <head>와 <body>에 삽입
- GTM을 처음 구현할 때는 어느 정도의 개발자의 도움이 필요하기도 함
- 대신 GTM을 완벽하게 구현한 후에는 개발자의 도움 없이 다양한 매체의 픽셀/스크립트를 심을 수 있음
[ 광고선배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
반응형
'마케팅 툴 > GTM(Google Tag Manag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태그 매니저(GTM)에서 이벤트 구현하는 대표적인 6가지 방법 (0) | 2025.03.17 |
---|---|
구글 태그 매니저(GTM)에 구글 애널리틱스(GA4) 공통 스크립트 설치하는 방법 (0) | 2025.03.16 |
구글 태그 매니저, GTM(Google Tag Manager)과 데이터 레이어(Data Layer) (1) | 2025.03.16 |
구글 태그 매니저, GTM(Google Tag Manager)이란? (0) | 2025.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