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소재성과2

광고 소재 성과 판단법 간단 정리 성과가 좋은 소재의 기준을 간단하게 정리해 보면,광고비를 많이 소진하면서도 최종 KPI에 대한 효율이 좋은 소재가 좋은 소재이다. 광고비를 많이 쓰고 있다는 것은 볼륨을 높여줄 수 있다는 것이고,효율까지 좋으면 해당 볼륨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광고 소재 성과 관련 참고 자료*참고자료 1: 퍼포먼스 마케팅, 광고 지표 간 상관관계 퍼포먼스 마케팅, 광고 지표 간 상관관계CTR이 높고 CVR이 높기만 하면무조건 성과가 좋은 걸까요?⠀광고, 마케팅 성과를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서는광고 지표간 상관 관계를 정확히 알고 계셔야 합니다.⠀잘못된 데이터 분석은ad-sunbae.tistory.com *참고자료 2: 구글 앱 캠페인(AC/UAC) 소재(광고 에셋) 성과 분석 및 교체 방법 구글 앱 캠페인(AC/UA.. 2024. 4. 28.
페이스북, 메타 광고 소재 최적화 방법, 온오프(ON/OFF) 기준 1. 메타는 타 매체(특히 구글) 대비 머신 러닝이 빠른 매체구글의 경우 머신 러닝 기간을 대략 1주일 정도로 생각하는데,페이스북은 하루~이틀 안에 소재 성과를 체크하고 액션을 취하는 편​물론 이론적으로는 두 매체 모두 머신이 러닝할 수 있는 시간을 더 길게 줄수록 좋지만,현업에서는 빠른 액션이 필요하고 통제할 수 없는 변수들이 많기 때문에 기다릴 시간이 없음​​​​2. 캠페인의 궁극적이 목표, 최우선 KPI를 고려캠페인에 따라 KPI가 다를텐데 일반적으로 앱 캠페인은 CPI와 인앱 액션(CPA)커머스의 경우 ROAS와 구매전환 단가(CPA)일 것이다. 그렇기에​CPI와 ROAS가 양호한 소재는 살려둔다.일정 수준의 스펜딩이 일어났음에도 성과가 좋지 않은 소재는 OFF광고세트 내 평균적인 CPI / CP.. 2024. 4.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