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데이터기준2 MMP에서 보이는 데이터의 출처, 네트워크 데이터와 트래커 데이터 데이터를 볼 때 주의해야 할 점 중 하나가 데이터의 출처를 명확하게 아는 것이다.동일한 현상/액션이 발생했을 때 데이터를 취합하는 툴이나 솔루션에 따라 데이터를 다르게 집계하기 때문 데이터의 출처에 따라 데이터 해석이 달라질 수 있다는 이야기인데,이는 MMP에서도 마찬가지 MMP에서 볼 수 있는 데이터의 2가지 큰 축네트워크 데이터(Network Data): 매체에서 주는 데이터 그대로 MMP가 불러오는 데이터트래커 데이터(Tracker Data): MMP가 MMP의 기준으로 측정한 데이터 대표적인 네트워크 데이터비용(Cost)노출(Impression)클릭(Click)도시(City)Region(지역)노출 위치(Placement)등등등 대표적인 트래커 데이터설치(Install)매출(Purchase)그 .. 2024. 4. 30. 구글 광고와 MMP(어트리뷰션 툴)의 다른 앱 설치 기준 앱 마케팅을 진행할 경우 대부분 앱스플라이어, 애드저스트 등과 같은 MMP(어트리뷰션 툴)를 사용하게 된다.어트리뷰션 툴을 사용하게 되면 앱 설치 외에도컨텐츠 뷰, 회원가입 수, 로열유저 수, 게임일 경우 특정 스테이지까지 진입한 유저 수 등앱 내에서 활동하는 유저들의 상세한 액션을 트래킹하고 분석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또한 앱 마케팅의 규모가 커질수록구글 외에도 페이스북/인스타그램, 트위터, 카카오모먼트, 네이버, 틱톡 등 다양한 매체들을 함께 운영하게 된다. 이때 각 매체들의 룩백 윈도우, 기여 모델 등이 다르기 때문에 성과를 동일한 기준으로 측정할 수 있는 기준이 필요한데,어트리뷰션 툴이 그 기준이 되어줄 수도 있다. 실제로 기본 세팅을 기준으로 구글과 앱스플라이어의 앱 설치 수가.. 2024. 4. 2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