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로데이터로 어트리뷰션 소스(매체)를 확인할 때
Unattributed와 Organic(자연 유입)을 잘 구분해야 할 때가 있다.
특히 iOS 앱 캠페인의 경우 iOS 14 이후로 개인정보 보호가 강화되었고
이로 인해 매체 성과가 "오가닉"으로 집계되거나 "알 수 없음"으로 집계되는 경우도 많기 때문.
iOS 캠페인 성과를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은 거의 없다고 봐도 되지만,
조각나 있는 성과를 유추할 수 있는 기준 중 하나로 로데이터 어트리뷰션 파트너(매체) 분류 기준을 참고할 수는 있음.
(iOS 성과를 볼 때는 SKAN, SSOT, Unified iOS, CPP 활용 등 다양한 데이터도 함께 참고하면 좋음)
Organic으로 집계되는 데이터 기준
- 실제 오가닉 유저 데이터
- 데이터 보존 기간(보통 6개월)이 지난 매체 데이터
- 데이터 보존 기간이 지나지 않은 실제 매체 성과이지만 iOS 특성 상 오가닉으로 집계되는 데이터
Unattributed로 집계되는 데이터 기준
- 모두 Meta 성과

* 참고링크: 싱귤러 로데이터 관련 공식 도움말
[ 광고선배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
반응형
'마케팅 툴 > MM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어브릿지 웹 SDK 이벤트/전환 실시간 테스트 방법 (0) | 2024.10.02 |
---|---|
MMP의 매체별 데이터 보존 기간 및 데이터 해석 방법 (Feat. 싱귤러) (0) | 2024.08.13 |
MMP의 대시보드와 로그 추출(로데이터)의 값이 다른 이유는? (Feat. 싱귤러, 메타) (0) | 2024.05.27 |
싱귤러 로그 추출과 유저 레벨 데이터: 지원되는 필드 도움말 (0) | 2024.05.27 |
로그 추출(로데이터) 및 유저 레벨 데이터 관련 싱귤러 도움말 (0) | 2024.05.27 |